보다 나은 세상을 위하여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보다 나은 세상을 위하여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51)
    • 금융과 금융시장 (6)
    • 인구와 경제 (20)
    • 통계학과 계량경제학 (6)
    • 이것저것 (3)
    • 입시정보 (1)
    • 부동산 이야기 (15)

검색 레이어

보다 나은 세상을 위하여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고령화

  • 인구구조 변화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4)

    2025.05.03 by Blue Dot

  • 인구구조 변화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1)

    2025.05.03 by Blue Dot

  • 왜 인구인가? (5)

    2023.11.11 by Blue Dot

  • 왜 인구인가? (2)

    2023.11.07 by Blue Dot

인구구조 변화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4)

금융 및 부동산 : 인구변화는 저금리, 주가하락, 그로 인해 금융회사 수익성을 악화시 키고 부동산 시장에 치명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인구변동은 금융시장 및 금융산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다. 앞서 언급했듯이 저출산・고령화 시기에는 젊은층의 소비 축소, 노령층의 저축 축소, 노령층의 안전자산 선호 강화가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이론적으로나 경험적으로도 고령화, 저성장, 저금리는 동시에 진행되는 경향이 있으며 사회보장 지출 증가로 재정수지가 악화된다. 저금리가 진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로 생산가능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소 비가 위축됨에 따라 성장이 둔화되고 이는 기업 자금 수요를 낮 추게 되어 시장금리가 하락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연금 및 사회 보장지출이 증가함에 따라..

인구와 경제 2025. 5. 3. 16:51

인구구조 변화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1)

만약 몇 년간 무인도에 갇혀 살면서 단 한 가지 정보만 얻을 수 있다면 나는 인구 구성 변화에 대한 정보를 택하겠다.(빌 그로스, 핌코 회장) 저출산, 고령화, 생산가능인구 및 총인구 감소는 고용·소비, 금융·부동산, 재정·연금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문제를 야기한다 저출산, 고령화, 생산가능인구 및 총인구 감소 등은 시차를 두고 나타나며 이러한 일련의 인구변화(이하 이 장章에서 인구변화라 함은 위의 4가지 현상을 의미한다.)는 경제 및 사회전반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인구변화가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실물경제, 금융시장 및 산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우리보다 앞서 인구변화를 경험한 일본과 같은 국가의 실제 경험뿐만 아니라 학문적 분석을 통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우선 주된 소비주체인 생산가능인..

인구와 경제 2025. 5. 3. 15:58

왜 인구인가? (5)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세계 최저 수준이며 출생아수도 계속 감소중이다 우리나라의 2022년 출산율(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이는 대체 출산율16인 2.1명에 턱없이 못 미친다. 이러한 수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저이며 전세계를 대상으로 한다 하더라도 최하위 수준이다. 2020년 OECD 국가의 평균 합계출산율은 1.59명이며 우리나라 다음으로 출산율이 낮은 국가는 이탈리아로 1.24명이다. 우리보다 앞서 저 출산 문제로 고민하고 있는 일본의 2020년 합계출산율은 1.33명이다. 일본의 역대 최저 수준의 합계출산율이 1.26명(2005년)임을 감안하면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 0.78명(2022년, 2020년은 0.84명)이 얼마나 낮은 수준인지 짐작할 수 있다...

인구와 경제 2023. 11. 11. 16:46

왜 인구인가? (2)

출산율 감소로 인해 단기적으로 사회경제적으로 오히려 긍정적인 효과를 가졌던 연령 구 조 변화가 장기적으로는 인구 고령화와 같은 부정적 효과로 이어지는데 이를 인구 오너스라고 한다. 인구통계는 가장 정확하고 예측력이 높다 이제 이 장章의 제목인 ‘왜 인구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또 다른 대답을 제시해 보자. 통계는 그야말로 숫자를 세는 것이다. 그러기에 인구는 산정하거나 추정하기에 가장 정확한 통계 중의 하나이다. 다른 통계와 비교하면 더욱 그러하다. 예를 들어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 통계를 살펴보면 계산하여야 할 사항이 많으며 추정할 사항도 들어있다. 중국 GDP 통계를 신뢰하지 못하겠다는 말이 나오는 것도 중국 당국을 믿지 못하겠다는 말뿐만 아니라 GDP를 산정하..

인구와 경제 2023. 11. 7. 22:0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보다 나은 세상을 위하여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