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다 나은 세상을 위하여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보다 나은 세상을 위하여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51)
    • 금융과 금융시장 (6)
    • 인구와 경제 (20)
    • 통계학과 계량경제학 (6)
    • 이것저것 (3)
    • 입시정보 (1)
    • 부동산 이야기 (15)

검색 레이어

보다 나은 세상을 위하여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합계출산율

  • 왜 인구인가? (5)

    2023.11.11 by Blue Dot

  • 왜 인구인가? (1)

    2023.11.06 by Blue Dot

왜 인구인가? (5)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세계 최저 수준이며 출생아수도 계속 감소중이다 우리나라의 2022년 출산율(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이는 대체 출산율16인 2.1명에 턱없이 못 미친다. 이러한 수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저이며 전세계를 대상으로 한다 하더라도 최하위 수준이다. 2020년 OECD 국가의 평균 합계출산율은 1.59명이며 우리나라 다음으로 출산율이 낮은 국가는 이탈리아로 1.24명이다. 우리보다 앞서 저 출산 문제로 고민하고 있는 일본의 2020년 합계출산율은 1.33명이다. 일본의 역대 최저 수준의 합계출산율이 1.26명(2005년)임을 감안하면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 0.78명(2022년, 2020년은 0.84명)이 얼마나 낮은 수준인지 짐작할 수 있다...

인구와 경제 2023. 11. 11. 16:46

왜 인구인가? (1)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지만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한다. (토마스 로버트 맬서스) 한 나라의 국민은 생산자이자 소비자이다 곧 인구는 생산자수이자 소비자수이다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지만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한다.” 누구나 한번은 들어봄직한 명구이다. 고전학파 내의 이단아였던 맬서스(Thomas Robert Malthus)는 그의 기념비적인 저서 「인구론, An Essay on the Principle of Population, 1789」에서 이렇게 경제학을 ‘우울한 과학(dismal science)’으로 만들어버렸다. 그러나 그의 통찰은 기하급수적으로 식량생산이 가능해지면서 반이 무너졌으며 20세기가 지나기 전에 나머지 반도 무너졌다. 이제 더 이상 인구 증가가 재앙이 아니고 오히려 인..

인구와 경제 2023. 11. 6. 23:3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보다 나은 세상을 위하여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