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부동산 이야기 - 프롤로그

부동산 이야기

by Blue Dot 2025. 5. 3. 21:19

본문

'아파트 공화국', 우리나라와 우리 민족의 특성을 말하는 말 중 이 용어도 결코 빠져서는 안 된다. 사실 누가 제일 먼저 언급했는지는 모르지만 나는 적어도 프랑스 지리학자인 발레리 줄레조가 쓴 책 「아파트 공화국」(길혜연 譯)을 통해 처음 접했다. 저자가 직접 언급한 용어인지 출판사가 작명한 것인지는 확인할 수 없으나, 정말 탁월한 제목인 것은 분명하다. 이 책에서도 언급하고 있지만 서구의 대단지 아파트 모델이 실패로 귀결된 데 반해 우리나라에서는 왜 아파트 단지가 주거 단지로서 성공한 모델이며 심지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주거하고 보유하기를 원하는 선망의 대상이 되었을까? 그것은 우리나라 정부의 주택정책 재벌 소유의 건설회사의 아파트 공급, 우리 국민 특유의 주택 소유욕 등이 혼합된 결과이다. 우선 우리 정부의 주된 주택정책은 장기 임대주택 공급에 있지 않고 주택 매매에 있다. 정부가 주택정책을 발표할 때마다 사림의 최대 관심은 주택 매매를 위한 관련 제도나 규제의 변경에 있다. 다음으로 재벌 소속 건설회사에서 아파트를 공급함으로써 아파트 자체가 고급 상품화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해지는데 심지어 최근에서 같은 건설회사라 하더라도 입지 조건이나 분양가에 따라 아파트 단지 이름을 달리하여 의도적으로 차별화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 국민들의 주택에 대한 소유욕이다. 관련 설문조사에 따르면, 소위 MZ 세대라 하더라도 본인 명의의 주택은 있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70% 가까이 이를 정도로 매우 높다. 
 
이렇듯 우리나라를 설명할 때 부동산, 특히 아파트를 제외하고 설명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러기에 우리는 좋든 싫든 부동산에 대해 알아야, 그것도 구체적으로 알아야 한다. 부동산시장은 어떻게 흘러왔고(부동산시장 동향) 이에 따라 부동산 정책은 어떻게 변했으며, 부동산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알아야 하는지(부동산시장 분석) 그리고 가장 관심이 많은 아파트 재건축은 어떤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지 등을 알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재건축을 위한 자금을 어떻게 조달하는지까지도 알아야 한다. 시중에 부동산에 관한 자료가 많이 있다. 앞으로의 글이 이러한 자료를 참고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어떤 자료는 부동산시장 동향에 관한 것, 또 어떤 자료는 아파트 재건축에 관한 것, 이렇듯 정보가 조각조각 있어서 부동산시장 전체를 그것도 아파트 재건축을 중심으로 이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물론 아파트 가격이 오르고, 재건축이 활성화되며 특정 지역의 아파트 수요가 늘어나는 것이 사회 전체적으로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러한 형태의 발전은 불평등 확대라는 부작용을 낳게 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다만 이는 앞으로의 글의 주된 목적이 아니라 생략한다.

관련글 더보기